이만규 (188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만규는 1889년 강원도 원주 출생으로,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해방 후 북한에서 활동한 사회주의 정치가이자 통일운동가이다. 대한의원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나 의사로 활동한 기간은 짧았으며, 배화여자고등학교 교장, 조선어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항일 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1948년 남북 협상에 참여한 후 북한에 남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문자개혁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북한의 교육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저서로 《조선 교육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학자 - 김두봉
김두봉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 언어학자, 정치인으로, 주시경의 제자로서 한글 연구와 교육에 힘썼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조선독립동맹 결성,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했으나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숙청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학자 - 이극로
이극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간사장과 조선어사전 편찬 위원을 역임하고 광복 후 북한에서 활동하며 조국통일상을 받은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자 - 박금희
박금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평양교원대학 학장을 거쳐 현재 총장직을 맡고 있으며 최고인민회의 부의원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자 - 박창옥
박창옥은 함경북도 출신으로 소련 유학 후 조선노동당에서 활동하며 고위직을 역임했으나, 김일성의 권력 강화 과정에서 '8월 종파 사건'에 연루되어 숙청 후 총살당한 북한 정치인으로, 그의 몰락은 북한 내 소련파 숙청과 김일성 독재 체제 공고화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이만규 (1889년)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889년 3월 15일 |
사망 | 1978년 12월 24일 (89세) |
직업 | 언어학자, 정치인 |
분야 | 언어학, 정치 |
학력 |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졸업 |
경력 | 조선어학회 발기인 민주국민당 중앙상무위원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
상세 정보 | |
본관 | 전주 이씨 |
2. 생애
일제강점기의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였으며, 해방 후 1948년 4월 남북협상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북한에 남아 활동한 사회주의 정치가이자 통일운동가이다. 강원도 원주 출신으로, 대한의원을 졸업했으나[2] 교육자의 길을 걸으며 배화여자고등학교 교장을 지냈다.[3] 여운형과는 친구이자 인척 관계였다. 조선어학회 활동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는 등 일제에 항거하는 삶을 살았다.[4][3]
1948년 남북협상 이후 북한에 남아 그해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며, 1978년 사망할 때까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문자개혁위원회 위원장, 조국통일사 사장 등으로 활동했다. 북한의 보통교육국장을 역임하였고,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 번역 사업에도 기여했다.
2. 1. 일제강점기 활동
강원도 원주 출신이다. 대한의원에서 3년간 의학을 공부하여 1910년에 졸업했으나,[2] 의사로 활동한 기간은 7개월에 그쳤다.[3] 의사보다는 교육자의 길을 걸어 배화여자고등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여운형과는 친구이자 인척 관계였다.조선어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던 중,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일제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4] 이는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에 맞서 우리말을 지키려 한 활동에 대한 탄압이었다. 이 외에도 한영서원 애국가 사건,[5] 3·1 운동, 흥업구락부 사건 등에 연루되어 총 4차례 체포되고 3번 투옥되어 18개월 이상 옥고를 치렀다.[3]
2. 2. 해방 이후 북한에서의 활동
1948년 4월 남북협상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북한에 남게 되었다. 같은 해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이후 1978년 사망할 때까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문자개혁위원회 위원장, 조국통일사 사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주의 정치인이자 통일운동가로 활동했다. 또한 북한의 보통교육국장을 지냈으며, 초기에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 번역 사업을 이끌었다.3. 저서
- 《조선 교육사》 (1988년 출판)
참조
[1]
웹사이트
"세종이 말을 듣지 않는다"…집현전 학생도 '동맹휴학' "Sejong doesn't listen"... Jihyunjeon students also take a leave of absence
https://www.pressian[...]
2023-06-24
[2]
웹사이트
식민지 의대 졸업생이 선택한 두 가지 길 Two Paths Chosen by Colonial Medical College Graduates
https://www.pressian[...]
2023-06-24
[3]
논문
학술논문검색사이트 KISS: Lee Man-gyu's life and national movement
https://kiss.kstudy.[...]
2023-06-24
[4]
웹사이트
이만규는 '친일파'가 아니라 '독립운동가'였다 Lee Man-gyu was not a 'pro-Japanese' but an 'independence activist'
https://www.ohmynews[...]
2023-06-24
[5]
간행물
개성 한영서원의 애국창가집 사건과 3·1운동 The incident of the patriotic songs of Gaeseong Hanyeongseowon and the March 1st Movement
https://ggc.ggcf.kr/[...]
2023-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